추석에도 차례를 안 지내는 집이 많죠. 핵가족에 자식이 외동인 경우도 많고, 종교적 이유, 여행 등 다른 이유도 많아요. 그래도 아직은 차례를 지내는 집이 더 많겠죠. 차례를 지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찾아봤어요. 차례상 차리는 법입니다. 세배 예절도 알려드립니다.
목차
차례상
차례(茶禮)는 설과 추석 등 명절에 지내는 제사예요. 차례상은 차례를 지내기 위해 차리는 상(床)이죠.
차례는 원래 술/과일/포와 계절 음식을 차려 술을 한 번만 올리는 간소한 약식 제사로 전해집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은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다르게 차릴 수 있어요.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려요. 차례는 약식이므로 술은 한 번만 올립니다. 잔에 첨가하는 첨잔은 할 수 있어요.
차례상에서 '신위(神位, 지방)'가 있는 곳을 북쪽으로 합니다. 제주(祭主)가 차례상을 바라보았을 때 신위의 오른쪽이 동(東)이 되고, 왼쪽이 서(西)가 됩니다.
차례상은 보통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해서 5열까지 차리는 경우가 많아요.
상은 신위가 있는 1열부터
- 1열: 밥, 국(송편, 떡국), 수저, 잔
- 2열: 서쪽부터 국수, 전(기름에 부친 것),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 떡
- 3열: 육탕(육류),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세 종류의 탕
- 4열: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
- 5열: 과일과 과자
등이 올라갑니다.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하며, 나물은 3가지 색 나물을 한 접시에 담아요. 차례상에 삼치, 꽁치 등 -치로 끝나는 생선은 흔하고 싸다고 여겨져 올리지 않습니다.
복숭아처럼 털이 있는 과일은 쓰지 않습니다. 고춧가루, 마늘 같은 붉거나 향이 강한 양념은 쓰지 않고 소금, 간장으로 간을 해요.
차례상의 복잡한 규칙은 유교 경전이나 예법에는 없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의 차례상은 매우 간소하게 차리거나 생략했다고 알려져 있어요.
성균관 차례상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는 2022년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어요. 차례 관련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의례 전문가와 협의한 차례상 표준화 방안이에요. 추석과 설날의 차례상을 제사상처럼 차리면서 부담이 늘어난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죠.
차례상 표준안에 의하면 송편, 떡국 등 명절 음식을 중심으로 올립니다. 추석 차례상의 기본은 송편·나물·구이(적)·김치·4가지 과일과 술을 포함해 9가지예요. 육류·생선·떡을 추가할 수 있어요.
- 신위: 지방(紙榜)을 쓰거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아요.
- 과일 놓는 방법: 홍동백서 등과 상관없이 4~6가지를 편하게 놓으면 됩니다.
-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 성묘: 차례 전/후 아무때나 가도 괜찮아요.
올바른 세배 예절
세배는 두 손을 모은 후 몸을 굽혀 절을 하면 됩니다. 배와 주먹 하나 간격을 두고 두 손을 배꼽 높이에서 모읍니다.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갭니다.
두 손을 모으고 몸을 굽혀 손을 바닥에 대요. 왼쪽 무릎부터 바닥에 닿게 합니다. 손등에 닿을 듯 말 듯하게 머리를 숙여요.
일어설 때는 오른쪽 무릎을 먼저 바닥에서 떼요. 두 손을 오른쪽 무릎 위에 올린 후 왼쪽 다리를 펴며 일어서요. 일어선 후 두 손을 모은 채 가볍게 고개를 숙여요.
자손들이 어른들께 세배할 때 ‘복 많이 받으세요’, ‘건강하세요’ 등의 덕담을 건네는 건 예법에 어긋난다고 해요. 어른이 먼저 덕담을 건네면 답하는 것이 우리나라 예법입니다. 세배 순서는 조부모가 있을 경우에는 자식들이 먼저 세배하고, 손주들이 세배를 합니다.
추석 차례상은 원래 아주 간소하게 차렸다고 합니다.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을 참고로 간소하지만 정성껏 차례를 지내면 될 것 같습니다. 세배 예절도 유익한 것 같습니다. 참고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