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 필요하죠. 지방에 들어가는 내용이 생소한 내용이라 처음 쓸 때는 좀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뜻을 알고 나면 금세 익숙해집니다. 지방 뜻과 쓰는 법, 실제 예를 알아봅시다.
목차
지방 뜻
지방(紙榜)은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 고인을 상징하는 신위(神位)입니다. 한자 자체는 붙인 종이라는 뜻이죠. 전통적인 신위인 신주나 위패는 나무로 만들어 사당에 모셔야 합니다. 그러나 가정에서 사당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제사 전에 만들어 쓰는 1회용 신위인 지방이 흔히 사용되었어요. 제사 직전 고인의 이름, 관직 등을 종이에 적어 만들고, 제사 후에 태웁니다.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어요.
지방 쓰는 법
지방은 보통 폭 6cm, 길이 22cm 정도의 종이에 씁니다. 한자로 세로 형태로 쓰는 것이 전통 방식입니다. 고인과의 관계, 직위, 이름, 그리고 신위(神位)를 순서대로 적습니다. 지방은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집니다. 가장 많이 쓰는 선친의 지방을 예로 쓰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선친의 지방은 보통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씁니다.
- 현(顯): 고인을 모신다는 뜻. 존경의 의미로 쓰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 고(考): 돌아가신 아버지
- 학생(學生): 특별한 관직이 없거나 깊은 공부를 하지 않은 남자 조상의 경우를 말합니다. 고인의 관직명이나 학위명을 넣을 수 있어요.
- 부군(府君): 자신의 윗사람인 남자 조상에 사용. 아랫사람은 직접 이름을 씁니다.
- 신위(神位): 고인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지방도 신위의 일종입니다.
어머니의 지방은 ‘현비유인[본관][성]씨신위(顯妣孺人[본관][성]氏神位’입니다.
- 현(顯): 고인을 모신다는 뜻. 존경의 의미.
- 비(妣): 돌아가신 어머니
- 유인(孺人): 특별한 관직이 없거나 깊은 공부를 하지 않은 여자 조상의 경우를 말합니다. 고인의 관직명이나 학위명을 넣을 수 있어요.
- 본관과 성씨: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덧붙입니다.
- 신위(神位): 고인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지방도 신위의 일종입니다.
- 조부모: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妣)’라고 적습니다.
- 증조부모: 증조부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모는 ‘증조비(曾祖妣)’입니다.
- 고조부모: 고조부는 ‘고조고(高祖考)’, 고조모는 ‘고조비(高祖妣)’입니다.
조상의 지방
고조부
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고조모
顯高祖妣孺人[본관][성]氏神位 (현고조비유인[본관][성]씨신위)
증조부
顯曾祖考學生府君神位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증조모
顯曾祖妣孺人[본관][성]氏神位 (현증조비유인[본관][성]씨신위)
조부
顯祖考學生府君神位 (현조고학생부군신위)
조모
顯祖妣孺人[본관][성]氏神位 (현조비유인[본관][성]씨신위)
부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모
顯妣孺人[본관][성]氏神位 (현비유인[본관][성]씨신위)
조상 외 지방
배우자의 지방
남편
顯辟學生府君神位 (현벽학생부군신위)
아내
亡室孺人[본관][성]氏神位 (망실유인[본관][성]씨신위)
형 내외
형
顯兄學生府君神位 (현형학생부군신위)
형수
顯兄嫂孺人[본관][성]氏神位 (현형수유인[본관][성]씨신위)
동생 내외
동생
亡弟學生[이름]神位 (망제학생[이름]신위)
제수
亡弟嫂孺人[본관][성]氏神位 (망제수유인[본관][성]씨신위)
아들 내외
아들
亡子秀才[이름]之靈 (망자수재[이름]지령)
며느리
亡婦孺人[본관][성]氏之靈 (망부유인[본관][성]씨지령)
[이름]은 성씨를 제외하고 이름만 넣어야 합니다. 亡(망) 대신 故(고), 秀才(수재) 대신 秀士(수사)로 쓸 수 있습니다.
두 분 이상을 함께 기리는 경우, 남자 조상을 왼쪽에,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지방은 고인의 혼을 상징하는 만큼 한 번 사용한 뒤에는 반드시 소각해야 합니다. 지방을 보관하거나 재사용하는 것은 금기시되며, 조상에 대한 예를 다하기 위해 제사가 끝난 후 신속히 태우는 것이 전통적인 관례입니다. 지금까지 지방의 뜻, 쓰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기제사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