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아카이브

GNI 국민총소득 뜻 한국 GNI 순위 GDP와 차이

by 지식웰니스2 2025. 3. 8.
반응형

GNI(국민총소득)는 한 국가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한 지표입니다. 국가 간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활용되죠. 1인당 GNI 기준 한국은 주요 국가 중 6위를 기록하고 있어요. 생활 수준이 사실상 세계 최상위권이지요. GNI의 뜻과 순위, GDP와의 차이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GNI 국민총소득 뜻 한국 GNI 순위 GDP와 차이


 
 
 
 
 

목차

     
     
     
     

    GNI(국민총소득)란?

     
    1) GNI의 뜻
     
    GNI(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는 한 국가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한 경제 지표입니다.
     
    GNI는 국내총생산(GDP)과 관련이 있지만, 외국에서 벌어들인 소득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GN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NI=GDP+국외 순수취 소득
     
    ※ 국외 순수취 소득=자국민이 해외에서 번 소득(이자, 배당, 임금) - 외국인이 자국에서 벌어간 소득

     

    1인당 GNI는 한 나라 국민의 평균적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죠.

     

     

    명목 물가를 반영한 성장률인 명목 GDP에 명목 국외 순수취 소득을 더한 명목 GNI를 통계청 추계 인구로 나눠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산출합니다.
     
    2) GNI가 중요한 이유
     

    • 국민의 실질적 소득 반영: GDP는 국내에서 생산된 가치만을 반영하지만, GNI는 해외 소득까지 포함하여 국민이 실제로 얼마나 벌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소득 수준 비교 가능: GNI는 국가 간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활용되며, 1인당 GNI는 국민 개개인의 평균 소득 수준을 나타냅니다.
    • 경제 정책 수립 기준: GNI 증가는 국민 생활 수준 향상과 직결되므로, 정책 입안자들이 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GNI와 GDP의 차이

     


    GNI와 GDP는 국가 경제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이지만, 그 개념과 측정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GNI (국민총소득) GDP (국내총생산)
    개념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경제력 평가 기준 국민의 실질적 소득 수준 반영 국내 경제 규모를 측정하는 지표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은 한국의 GNI에 포함되지만, 미국 애플이 한국에서 벌어들인 이익은 한국의 GNI에서 제외됩니다.
     
    반면, GDP는 한국 내에서 발생한 모든 경제활동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외 소득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세계 1인당 GNI 순위 (2023년)

     
    2023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1인당 GNI가 높은 나라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당 GNI는 지표가 다양해서 자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2023년 1인당 명목 GNI 기준 순위입니다.
     


    순위/ 나라/ 1인당 GNI (미국달러)
     
    1/ 모나코/ 134,640
    2/ 리히텐슈타인/ 116,600
    3/ 스위스/ 102,460
    4/ 룩셈부르크/ 95,160
    5/ 노르웨이/ 88,370
    6/ 아일랜드/ 80,390
    7/ 미국/ 80,300
    8/ 덴마크/ 79,840
    9/ 싱가포르/ 76,300
    10/ 아이슬란드/ 74,420
     


    이러한 수치는 세계은행(World Bank)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이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2023년 1인당 GNI가 35,490달러로, 세계에서 29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자료들에서는 20~22위권으로 알려져 있어요.)
     

     

    주요국 1인당 GNI 순위 (2024년)

     
    1인당 GNI 순위는 인구가 아주 적은 나라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올수도 있죠. 그래서 인구 5,000만 명 이상인 주요국가의 순위를 알아보기도 합니다.
     


    2024년 5000만 명 이상 국가 중 1인당 GNI)이 높은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행

     
    한국의 1인당 GNI는 2024년 기준 36,624달러로, 주요국 중 6위입니다. 일본보다 1계단 위에 있죠. 이 자료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 통계에 따른 것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각국의 경제력을 나타내며, 인구 규모와 함께 고려할 때 국가별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한국의 1인당 GNI

     
    1) 한국 1인당 GNI 추이

     

    한국은행

     

    2000년 이후 한국의 연도별 1인당 GNI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달러)


    2000 (12,632) > 2005 (20,026) > 2010 (24,109) > 2014 (30,797) > 2015 (30,247) > 2018 (35,493) > 2020 (33,928) > 2021 (37,898) > 2023 (3,6194) > 2024 (36,624)

     

     

    2000년 12,000 달러 대에서 2005년 20,000 달러, 
    2014년 3만 달러를 넘었어요. 그후 10년간 3만 달러 대에 머물고 있지요. 2021년 37,000 달러 대가 최고 기록입니다. 
     
    2024년에는 36,624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에 그쳤지요.

     

     

    2) 일본과의 비교

     

    한때 우리보다 20~30년 앞섰다고 했던 일본을 2023년 처음으로 추월했지요. 2023년 일본의 1인당 GNI는 35,793달러로, 우리나라보다 400달러 남짓 적었어요.

     

     

    2024년에는 우리나라가 성장한 반면 일본은 엔저 등으로 오히려 뒷걸음치면서 약 2,140달러 차이로 벌어졌어요. 2년 연속 한국이 일본을 앞서게 되었지요.

     

    새로운 경쟁자인 대만도 뛰어넘었어요. 대만은 지난해 35,188달러를 기록했습니다.

     

    GNI 상승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1) 소비 수준 및 생활 수준 향상
     
    GNI 상승은 국민의 실질적인 소비 능력을 증가시키고, 생활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소득이 증가하면 고급 소비재와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며, 여행, 문화생활 등의 여가 활동도 활발해집니다.

     


    2) 주거 및 교육 환경 개선

     

    • 주거 환경: 국민 소득이 증가하면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선택할 수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교육 투자 증가: 소득 증가로 인해 사교육 및 해외 유학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3) 불평등 문제


    GNI 상승이 반드시 모든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득 불평등이 심할 경우, 일부 계층은 경제적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적절한 재분배 정책을 통해 소득 격차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한국 GNI 전망

     

    1) 한국의 주요 성장 동력

     

    • 반도체 산업: 한국의 반도체 수출 증가가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 첨단 기술 투자: AI, 전기차, 배터리 산업 등에 대한 투자 증가로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해외 시장 개척: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기업들의 해외 수익 증가도 GNI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GNI 증가 전망


    한국은행과 IMF는 2027년 한국 1인당 GNI가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고환율에 고령화, 저출산,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리스크가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산업 경쟁력 강화와 경제 구조 개편이 필요합니다.
     


     
     

    1인당 GNI는 국민의 평균적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죠. 2024년 한국의 1인당 GNI는 36,624달러로 2년 연속 일본을 앞질렀습니다. 주요국 중 6위에 오르기도 했지요. 우리의 생활 수준이 세계 최상위권임을 알려줍니다. 앞으로도 이 수준을 유지, 발전시켜야 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