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올림픽에 이어 파리 패럴림픽이 열리고 있습니다. 올림픽만큼 주목을 받지는 못하죠. 하지만 어려움을 이겨내고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의 이야기는 또 다른 감동을 줍니다. 패럴림픽 뜻부터 파리 패럴림픽 개막, 종목, 대표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패럴림픽 뜻
패럴림픽(Paralympic Games)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예요. 흔히 장애인 올림픽(장애자 올림픽)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신체적 장애란 근육의 손상 (마비 등), 수동적 운동장애, 사지 결핍 (절단 등), 시각 장애, 지적 장애, 정신 장애를 포함합니다. 패럴림픽은 동계/ 하계 패럴림픽이 있어요.,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로는 올림픽 개최 도시에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주관 하에 4년마다 개최됩니다.
패럴림픽 역사
패럴림픽의 기원은 20세기 영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독일의 신경학자 루트비히 구트만 박사는 하반신 마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스토크 맨더빌 병원에 척추 치료 센터를 열었어요. 퇴역 군인인 신체장애자들의 치료를 위해 스포츠를 도입했죠.
구트만 박사는 1948 런던 올림픽 개회식 날 첫 번째 스토크 맨더빌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대회를 통해 패럴림픽 대회로 성장하게 될 새로운 스포츠 대회 방식을 창안했어요.
1952년 첫 번째 국제 스토크 맨더빌 대회는 네덜란드 재향 군인 팀이 영국 팀과 함께 경쟁하는 방식으로 열렸어요. 1960년 제9회 국제 스토크 맨더빌 대회는 로마에서 열렸죠. 첫 번째 패럴림픽 대회로 여겨지고 있는데 8개 종목, 23개국 400명의 선수가 참가했어요.
1988년 역사상 처음으로 패럴림픽 대회가 서울에서 올림픽과 동일한 장소에서 개최됐어요. 60개국 3,057명의 선수가 참가했죠. 1960년~1980년까지는 공식 명칭이 국제 스토크 맨더빌 대회로 불렸어요. 패럴림픽 대회라는 용어는 1984년 대회부터 IOC가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파리 2024 패럴림픽 대회
파리 패럴림픽 개요
- 제17회 패럴림픽 대회
- 2024년.8/28일~9/8일
- 184개의 국가패럴림픽위원회(NPC)
- 22개 종목
- 11일간의 경기
- 18개 경기장
- 549개 세부종목
- 선수 4,400명
- 300만 명 이상의 관중 참여
파리 패럴림픽 마스코트
파리 올림픽에 선보였던 프리주예요. 패럴림픽 버전입니다.
자료원 ; 파리올림픽 패럴림픽 홈페이지
파리 패럴림픽 포스터
파리 2024 포스터는 올림픽/ 패럴림픽 대회를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하나의 큰 포스터를 둘로 나눈 형태로 제작했어요. 하나가 되는 포스터로 올림픽/ 패럴림픽 모두를 위한 파리 2024의 열정을 나타냅니다. 아래 왼쪽이 올림픽 포스터, 오른쪽이 패럴림픽 포스터입니다.
자료원 ; 파리올림픽 패럴림픽 홈페이지
파리 패럴림픽 개막
2024년.8/28일 저녁 8시 (한국 시각 29일 오전 3시)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파리 패럴림픽 개막식이 열렸어요. 개선문에서 콩코르드 광장까지 이어진 샹젤리제 거리를 선수단이 걷거나 휠체어를 타고 입장했어요.
대한민국은 36번째로 입장했어요. 기수로 나선 카누의 최용범 선수가 갓을 쓰고 태극기를 흔들며 한국의 멋을 보여주었죠. 대한민국 선수단은 보치아, 탁구를 비롯해 역대 최다 종목에 출전해요.
파리 패럴림픽 종목
22개 종목, 549개 세부종목의 경기가 펼쳐집니다.
파리 패럴림픽 대표팀
대한민국은 17개 종목 83명이 참가합니다. 남자 46명, 여자 37명입니다. 총선수단은 177명입니다. 우리 선수단 출전 종목은 골볼, 배드민턴, 보치아. 사격, 사이클, 수영,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카누, 탁구, 태권도. 트라이애슬론, 휠체어펜싱, 휠체어테니스입니다. 우리 선수단의 목표는 금메달 5개로 종합순위 20위권 진입이라고 합니다.
주목할 만한 선수들
- 정호원 (보치아): 대한민국 보치아 간판선수. 5회 연속 패럴림픽 출전. 금 3, 은 2, 동 1
- 이도연 (장애인 사이클 도로): 3회 연속 하계 패럴림픽 출전
- 주정훈 (장애인 태권도): 도쿄 2020 대회 75kg급(K44) 동메달
- 서수연 (장애인 탁구): 세 번째 패럴림픽. 4개의 패럴림픽 메달(은 3, 동 1)
- 주영대 (장애인 탁구): 도쿄 2020 대회 금메달
- 이윤리 (장애인 사격): 4회 연속 패럴림픽. 금 1, 동 1.
- 박진호 (장애인 사격): 5개의 세계선수권 금메달. 도쿄 2020 대회 은 1, 동 1.
- 유수영 (장애인 배드민턴): 세계선수권 4관왕. 도쿄 패럴림픽 대회 은.
- 전민재 (장애인 육상): 4회 연속 패럴림픽. 은 3.
- 유병훈 (장애인 육상): 4회 연속 패럴림픽.
- 조기성 (장애인 수영): 리우 2016 대회 3관왕
- 김황태 (파라 트라이애슬론): 파리 2024 극적인 출전권 획득.
한국 선수단 경기 일정
한국 선수단 일정은 아래 파리 패럴림픽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아직은 영어로 나오네요)
파리 패럴림픽 중계
파리 패럴림픽 중계는 방송 3사 KBS, SBS, MBC와 네이버 등에서 볼 수 있어요.
패럴림픽은 관심이 좀 떨어질 수 있죠. 하지만 주목할만한 선수들의 스토리만 봐도 감동적인 인간 승리가 많아요. 선수들을 응원하면서 감동과 영감을 나누는 패럴림픽의 추억을 만드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