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물러가는 처서 매직을 기대했는데 올해는 조금 기대에 못 미쳤어요. 그래서 다음 가을 절기를 찾아보니 백로가 다음이네요. 더위가 꺾이고 선선한 가을날을 기대하면서 백로의 뜻, 날짜, 의미, 날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백로 뜻
백로(白露)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 밤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해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열다섯째예요. 양력 9월 7일~9월 9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들죠. 가을 기운이 완연하고 농작물에 이슬이 맺혀요. 백로는 이슬을 아름답게 일컫는 말이기도 해요.
2024년 백로는 9월 7일(토)입니다.
백로 의미
백로 무렵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요. 대기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이슬이 맺히고 가을 기운이 완연해져요.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부터 추분까지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었다고 해요.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侯)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했어요.
보통 맑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돼요. 간혹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하죠. 백로 전에 서리가 내리면 농사에 좋지 않다고 해요. 백로 전에 서리가 내리면 찬바람이 불어 벼의 수확량이 줄어들어요. 백로가 지나서 여문 나락은 결실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제주도에도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이라는 속담이 있어서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고 전해지죠. 백로가 지나도록 이삭이 패지 않으면 그 나락은 먹을 수 없다고 믿어요. 백로 전후에 부는 바람을 관찰하여 풍흉을 점치기도 해요.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해가 많다고 여기며, 비록 나락이 여물지라도 색깔이 검게 된다고 하죠.
백로는 대개 음력 8월 초순에 들지만 간혹 7월 말에 들기도 해요. 7월에 든 백로는 계절이 빨라 참외나 오이가 잘 된다고 하죠.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천석(十里千石)을 늘린다.”라는 말이 있듯이 백로에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생각하죠. 백로 무렵이면 조상의 묘에 벌초를 시작했어요. 추수할 때까지 잠시 농사일을 쉬는 때라 부녀자들은 친정에 다녀오는 근친(覲親)을 갔어요.
선선하고 차가운 기운이 돌며, 추석 무렵으로 만곡이 무르익는 시기예요. 기온도 적당하고 맑은 날이 이어지기 때문에 일조량이 많아요. 곡식이 여무는 데 더없이 좋은 때죠. 이 시기의 대표적인 제철식품으로는 포도가 있어요. '포도순절(葡萄旬節)'은 백로에서 추석까지를 일컫는 말이에요. 이 무렵에 포도가 성한 것을 비유해 멋스럽게 표현한 것이죠.
백로 날씨
백로는 처서 매직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선선해지는 시기죠. 그런데 올해는 늦더위 전망이 많아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서 9월 중하순까지 늦더위가 이어진다고 해요. 기상청에 따르면 백로(白露, 7일)가 낀 9월 첫째 주와, 추분(秋分, 22일)이 포함된 9월 셋째 주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60%라고 하네요.
기상청은 9월 중순까지는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을 받고, 이후인 9월 말까지는 이동성 고기압 영향으로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했어요. 9월 초까지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이 평년(1991~2020년) 보다 높은 이상고온 발생확률을 30%로 발표했어요. 9월 초중순까지 30도를 넘기는 후텁지근한 날씨가 이어진다는 얘기예요.
9월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무더위는 가을 태풍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여요. 9월 무더위는 해수면 온도를 높여서 풍속이 강하고 규모가 큰 태풍을 만들기 때문이죠. 북태평양 고기압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태풍이 한반도로 오느냐가 결정돼요.
올해는 백로에도 무더위가 좀 남아있을 것 같군요. 그래도 계절이 바뀌는 자연의 섭리는 변하지 않죠. 선선한 계절이 조금 늦게 오더라도 가을은 시작되겠죠.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을 뒤로하고 새 마음 새 뜻으로 결실의 계절을 맞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