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 매거진

라볼피아나, 한국축구 살릴까?

by 지식웰니스2 2024. 7. 11.
반응형

'홍명보 감독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한 이유는 홍 감독이 라볼피아나를 잘 구사할 감독이기 때문입니다.’ 축구협회가 최근 기자회견에서 홍명보의 라볼피아나를 언급하면서 생소한 축구 용어가 순식간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과연 홍명보의 라볼피아나는 한국 축구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요? 라볼피아나의 뜻, 전술, 사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라볼피아나-한국축구 살릴까?

 

목차

     

    1. 라볼피아나 개념

     

    1.1 라볼피아나?

     

    라볼피아나(Lavolpiana)란 축구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를 활용한 빌드업 전술로 변형 3백이라고도 합니다. 라볼피아나는 후방 빌드업 전개시 두명의 센터백은 라인을 좌우로 넓게 벌리고 수비형 미드필더가 그 사이로 내려가 일시적으로 변형된 백3의 형태를 취하는 전술을 말합니다.

     

    1.2 라볼피아나 기원

     

    리카르도 라 볼페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감독으로,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면서 '라볼피아나' 전술을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의 전술 철학은 창의적이고 공격적인 축구로, 이는 라볼피아나에서 잘 드러납니다. 'La Salida Lavolpiana(라 살리다 라볼피아나)’라는 명칭은 라 볼페의 이름을 형용사화한 표현으로, 직역하면 '라 볼페의 출구 전략'입니다. 이 전술은 수비진에서부터 빌드업을 시작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현대 축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3 라볼피아나 전개

     

    수비형 미드필더가 센터 백들 사이로 들어가 일시적으로 백3의 형태를 취하면 좌우 풀백은 전진해서 윙백과 같은 위치로 전진합니다. (아래 그림의 화살포 이동 창조) 이 형태는 중원에서 전방압박을 당하는 수비형 미드필더가 센터백과 골키퍼만 있는 최후방 라인까지 내려와 경기장을 넓게 바라보며 여유있게 전진패스를 하기 위함입니다. 상대팀은 수비형 미드필더에게서 볼을 뺏으려고 라인을 올리다가 공수간격이 벌어지고, 공간이 열리게 됩니다. 열린 공간으로 침투나 롱패스 등 역습 기회가 생깁니다.

     

    (자료원 ; 나무위키)

     

    2. 수비형 미드필더의 백3 형성

     

    2.1 전술적 개요

     

    수비형 미드필더가 후방으로 내려와 백스리를 형성하는 전술은 팀의 수비를 안정화시키고, 후방 빌드업을 통해 공격을 원활하게 전개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이 전술은 수비 시에는 단단한 방어를, 공격 시에는 효과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2.2 수비 안정화

     

    이 전술의 첫 번째 목표는 수비 라인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수비형 미드필더가 내려와 중앙 수비수와 함께 백스리를 형성하면, 상대의 공격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상대가 공격적으로 나올 때 유리합니다. 수비형 미드필더는 중앙 수비수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대의 공격 루트를 차단하고, 수비 라인을 더욱 견고하게 만듭니다.

     

    2.3 공격 전개

     

    두 번째 목표는 후방에서의 빌드업을 원활하게 하는 것입니다. 수비형 미드필더가 내려오면 센터백들은 더 넓게 퍼질 수 있어, 상대의 압박을 피하고 보다 다양한 패스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은 안정적으로 공격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수비형 미드필더는 공을 받은 후, 공격형 미드필더나 좌우 풀백에게 정확한 패스를 연결하여 공격을 시작합니다.

     

     

    3. 수비형 미드필더의 역할

     

    3.1 위치 선정

     

    수비형 미드필더는 상대의 압박 상황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조절합니다. 공격 시에는 수비 라인 사이에 위치하여 패스 옵션을 제공하고, 수비 시에는 중앙 수비수 사이에 내려와 추가적인 방어를 담당합니다. 수비형 미드필더는 상대의 공격 패턴을 읽고, 필요에 따라 수비 라인에 내려가거나 중원에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3.2 패스와 빌드업

     

    수비형 미드필더는 공을 받으면 주위의 중앙 수비수와 패스를 주고받으며 상대의 압박을 분산시킵니다. 이를 통해 팀은 후방에서부터 안정적으로 공을 소유하며 공격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미드필더는 때로는 직접 드리블로 전진하며, 상대의 수비 라인을 흔드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또한, 패스의 정확성과 시야가 중요하며, 팀의 공격 전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3 수비 전환

     

    상대의 공격 전환 시, 수비형 미드필더는 빠르게 자신의 위치로 복귀하여 수비 라인을 강화합니다. 이로 인해 상대의 공격을 차단하고, 팀의 수비 조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수비형 미드필더는 공을 잃었을 때 즉각적으로 수비에 가담하여, 상대의 역습을 방어하고 팀의 수비 라인을 안정화합니다.

     

    4. 라볼피아나로 유명한 수비형 미드필더

     

    4.1 FC 바르셀로나와 부스케츠

     

    바르셀로나의 세르히오 부스케츠는 수비형 미드필더가 백스리로 내려오는 전술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부스케츠는 경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위치를 변경하며, 팀의 후방 빌드업과 수비 안정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사례 : 2010-2011 시즌, 바르셀로나는 챔피언스리그와 라리가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이 시즌 동안 부스케츠는 후방에서 패스를 주고받으며, 팀의 공격 전개를 도왔고, 상대의 공격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중앙 수비수들 사이에 위치하여 수비 라인을 강화하고, 공격 전환 시에는 정확한 패스로 팀의 공격을 시작했습니다.

     

     

    4.2 맨체스터 시티와 페르난지뉴

     

    페르난지뉴는 맨체스터 시티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후방 빌드업과 수비 안정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는 필요에 따라 중앙 수비수 사이로 내려와 백스리를 형성하며 팀의 전술적 유연성을 제공했습니다.

     

    사례 : 2017-2018 시즌, 맨체스터 시티는 프리미어리그에서 100점을 기록하며 우승했습니다. 페르난지뉴는 후방에서 안정적인 빌드업을 제공하며, 팀의 공격 전환을 원활하게 했습니다. 그는 공을 받은 후 중앙 수비수들과 패스를 주고받으며 상대의 압박을 분산시키고, 팀의 공격을 지휘했습니다.

     

    4.3 유벤투스와 피를로 안드레아

     

    피를로는 유벤투스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후방 빌드업의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공을 소유하며 팀의 공격 전개를 지휘하고, 수비 시에는 중앙 수비수 사이에 위치하여 방어를 강화했습니다.

     

    사례 : 2014-2015 시즌, 유벤투스는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피를로는 후방에서의 정확한 패스와 위치 선정으로 팀의 빌드업과 수비 안정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는 팀의 후방에서부터 공격을 시작하며, 상대의 압박을 효과적으로 피하고 팀의 공격을 원활하게 전개했습니다.

     

     

    5. 골키퍼, 센터백, 미드필더의 역할

     

    5.1 골키퍼의 적극적 참여

     

    라볼피아나 전술에서 골키퍼의 역할도 변화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골키퍼는 골문을 지키는 역할에 머물렀지만, 라볼피아나에서는 공격 전개의 첫 번째 주자로 나섭니다. 골키퍼는 수비진 사이에 위치하여 패스 옵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상대의 압박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사례 : FC 바르셀로나의 마크-안드레 테어 슈테겐은 펩 과르디올라 감독 아래에서 골키퍼가 수비진과 패스를 주고받으며 상대의 압박을 피하고, 공격 전개의 시작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로 인해 바르셀로나는 후방에서부터 안정적으로 공을 소유하며 공격을 전개할 수 있었습니다.

     

    5.2 센터백의 전진

     

    라볼피아나에서는 중앙 수비수가 공을 받으면 전진하며 공격을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상대 팀의 압박을 분산시키고, 중원에서의 수적 우위를 확보합니다. 중앙 수비수는 공을 받자마자 주변 미드필더들에게 패스를 연결하거나 직접 드리블하여 상대의 수비 라인을 흔드는 역할을 합니다.

     

    사례 : 맨체스터 시티의 존 스톤스는 과르디올라 감독 아래에서 라볼피아나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는 공을 받은 후 전진하여 미드필더들에게 패스를 연결하거나 직접 드리블하여 상대의 수비 라인을 흔드는 역할을 했습니다.

     

     

    5.3 중원의 압도

     

    라볼피아나는 중원에서의 지배력을 강조합니다. 미드필더들은 끊임없이 움직이며 패스 옵션을 제공하고, 상대의 압박을 회피합니다.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공격 전환이 가능합니다.

     

    사례 : 티아고 알칸타라가 바이에른 뮌헨에서 활약할 때, 그는 중원에서의 패스 마스터로서 라볼피아나 전술의 핵심을 담당했습니다. 그의 정확한 패스와 뛰어난 위치 선정은 팀이 빠르게 공격으로 전환할 수 있게 했습니다.

     

    6. 라볼피아나의 영향력

     

    라볼피아나는 현대 축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감독들이 이 전술을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수비에서 공격으로의 전환을 중시하는 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6.1 바르셀로나와 과르디올라

     

    펩 과르디올라 감독은 바르셀로나에서 라볼피아나 전술의 요소를 적극 활용했습니다. 그의 팀은 후방에서부터 짧은 패스를 통해 공을 소유하고, 중원을 지배하며, 상대의 압박을 분산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바르셀로나는 수많은 성공을 거두었고,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았습니다.

     

    사례 : 2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바르셀로나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3-1로 이겼습니다. 이 경기에서 바르셀로나는 후방에서부터 안정적으로 공을 소유하며 중원을 지배하고, 상대의 압박을 효과적으로 벗어나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6.2 맨체스터 시티와 과르디올라

     

    과르디올라 감독은 맨체스터 시티에서도 라볼피아나 전술을 활용하여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후방에서부터 공격을 시작하며, 중앙 수비수와 골키퍼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사례 : 2018-2019 시즌, 맨체스터 시티는 프리미어리그에서 98점을 기록하며 우승했습니다. 이 시즌 맨시티는 후방에서부터의 빌드업을 통해 많은 골을 만들어냈으며, 라볼피아나 전술의 효과를 톡톡히 보았습니다.

     

    6.3 한국의 라볼피아나

     

    2002년 이전에도 홍명보는 국가대표팀의 빌드업을 담당했지만, 라볼피아나 형태의 후방 빌드업이 국가대표팀에 완전히 정착한 것은 히딩크호부터였다고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3백의 중앙 스위퍼로 활약했던 홍명보도 이 역할을 잘 수행했고, 이후 기성용이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현재 대표팀에서는 (큰)정우영이 이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6.4 리베로와 라볼피아나

     

    리베로는 수비수고 라볼피아나는 미드필더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전술 개념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습니다. 수비수 위치에서 3선 빌드업을 시작하고자 했던 점입니다. 라볼피아나가 리베로의 현대적 해석으로 볼 수도 있어서, 리베로를  라볼피아나의 범주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리카르도 라 볼페의 라볼피아나 전술은 현대 축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비에서 공격으로의 전환을 혁신적으로 바꾸었으며, 많은 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앞으로도 라볼피아나와 같은 혁신적인 전술이 축구 경기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축구 팬으로서,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경기를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줍니다. (홍명보의 라볼피아나가 한국 축구를 살려내는지 지켜봅시다.)

     

    반응형